Re: 요즘은 남녀노소 누구나 경제에 관심을 갖고 있는 것 같아요..
페이지 정보
작성자 정수민 작성일2024-10-02 17:47 조회76회본문
7월 주택담보대출(주담대)이 역대 최대치를 경신한 가운데 수도권 쏠림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이에 반해 건설경기 위축(용인 푸르지오 원클러스터
)으로 올해 건설투자는 작년에 비해 줄어들 것으로 예상됐다.
대한건설정책연구원(건정연)이 2일 발표한 '지표로 보는 건설시장과 이슈'에 따르면 주택담보대출이 매달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는 가운데 7월 주택담보대출는 주택금융공사 및 주택도시기금의 주택담보대출을 포함해 1041조원을 기록했다.
이는 최근 들어 금리 하락기를 맞이하고 있는 데다 정부가 7월 도입하기로 했던 '2단계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시행이 연기됨에 따라 9월 재개되기 전 대출을 받으려는 '막차 수요'가 증가한 이유로 풀이된다.
반면 주택시장에서는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 양극화 현상이 심해지고 있다.
지난 7월 아파트 매매가격지수는 전월 대비 수도권 0.5%, 서울 1.2% 각각 상승했지만, 지방의 경우 0.2% 하락해 큰 차이를 보였다. 같은 달 주택 매매 건수(평택 브레인시티 푸르지오)는 전월 대비 약 22.5% 증가했는데, 이 중 수도권 주택거래가 전체 주택거래의 55.2%기록해 과반수 이상을 차지했다.
주택 매매에서 수도권이 차지하는 비중은 올해 1월 40.9%에서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다. 미분양주택은 7월 기준 7만1822가구로 전월 대비 줄어들긴 했지만, 전체 미분양주택(곤지암 힐스테이트
) 중 지방의 비중이 80.5%에 달했다.
건정연은 "수도권을 선호 현상 강화는 4분기까지도 지속될 것으로 예측(대봉 서한이다음 모델하우스
)된다"며 "지방의 경우 수요 회복이 단기간 호전되지 않을 것으로 보여 미분양 위험이 지속될 가능성 크다"고 전했다.